투수 보크
야구에서 투수들은 타자들이 베이스로 나가게 되면 투구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베이스에 나간 주자들이 홈으로 돌아오게 되면 점수를 주게 되기 때문에 신경을 안 쓸 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베이스에 나간 주자들은 다음 베이스를 훔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합니다. 이런 노력들은 투수들은 투구를 방해합니다. 그러다보니 반대로 투수들은 이런 주자들의 움직임을 최대한 저지하려고 합니다. 그러다보면 투수들은 타자 혹은 주자들을 기만하는 행동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투수가 타자에게 정상적인 투구를 하려는 것처럼 행동을 취하다가 실제로는 베이스의 주자를 아웃시키기 위해 견제구를 던지기도 합니다. 이 때 도루를 하기 위해 다음 베이스로 스타트를 끊은 주자가 있다면 이 주자는 아웃을 당하게 됩니다.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투수가 견제를 하는척하다가 실제로는 타자에게 투구를 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베이스의 주자들은 견제를 대비해서 베이스 가까이 위치해 있을 것입니다. 그러다보면 도루를 할 확률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경기가 진행되다보면 투수에게 매우 유리하게 경기가 진행 될 것입니다. 이에 이런 일방적으로 투수에게 유리한 경기를 방지하고 만들어진게 보크라는 규칙입니다.
현재 야구 규칙에서 보크는 베이스에 주자가 있을 때 투수의 반칙 투구 행위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만약 투수가 보크를 하게 된다면 심판 중 한 사람이라도 이를 발견하고 '피처보크' 라고 크게 외칩니다. 그러면 베이스에 나가 있는 모든 주자는 한 베이스씩 진루하게 됩니다. 만약 만루 상황에 보크를 하게 된다면 점수를 주게 되기도 합니다.
이런 보크에도 여러가지 유형들이 있습니다. 단순히 투구를 하다 견제를 하거나 견제를 하다 투구를 하는 반칙 투구가 아닌 투수의 세세한 동작들의 차이로도 보크가 될 수 있습니다. 제일 흔히들 많이 하는 경우가 투수가 투구 동작을 하다가 투구를 멈췄을 때도 보크가 됩니다. 투수가 투수판을 밟고 서있는 상태는 투수가 타자에게 투구하겠다는 표시와 같습니다. 그런데 이런 와중에 투구를 하다가 멈춘다면 타자 혹은 주자를 기만하는 행위라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투수가 투구판을 밟은 상태에서 투구 동작 도중에 넘어지거나 공을 떨어뜨려도 보크 판정을 받습니다. 다음으로 많이 하는 투구 행위가 투수판을 밟고 있던 투수가 견제구를 던지기 전에 앞발을 견제를 던지는 베이스쪽으로 내딛지 않을 경우에도 반칙 투구가 됩니다. 투수의 발 방향에 따라 투구의 방향을 예측하고 주자들은 도루를 시도하기도 하는데 앞발이 홈플레이트 방향으로 향해 있다고 판단하고 도루를 시도했다가 견제구가 날아온다면 주자는 아웃을 당하기 때문에 앞발의 방향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흔히들 하게 되는 보크 동작은 견제 동작에서 주자가 없는 베이스에 송구하거나 송구하는 시늉을 하면 보크로 간주합니다. 다만 투수가 투수판에서 발을 올바르게 뺀다면 보크가 아니라고 봅니다. 이는 투수가 투수판에서 내려올 경우 야수로 간주되어 어디로든 공을 던질 수 있다고 봅니다. 이 외에도 여러 경우들이 많지만 위의 3가지 경우를 외에는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정도만 알아도 야구를 보는 데에 한층 더 재미를 느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은 야구를 접한지 얼마 안된 야구팬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규칙입니다. 야구를 보다가 3스트라이크아웃인데 타자가 더그아웃으로 들어가지 않고 1루로 뛰어가 살게 되는 경우를 보게되면서 혼선이 오게 됩니다. 내가 알던 야구 규칙과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은 노아웃이나 1아웃에서 주자가 1루에 없을 경우 성립됩니다. 2아웃에서는 주자가 1루에 있든 없든 상관없이 성립됩니다. 이때 타자가 3스트라이크아웃을 당했는데 포수가 이 공을 정상적으로 포구를 하지 못하고 원바운드나 와일드피칭을 범하게 되면 타자는 1루로 뛸 수 있습니다. 1루로 뛰는 타자를 태그아웃을 하거나 혹은 1루에서 포스아웃을 한다면 정상적으로 아웃이되지만, 정상적인 아웃을 이루지 못한다면 타자는 1루에서 살게 됩니다.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이 주자가 1루에 있을 경우에는 왜 성립이 되지 않냐면, 포수가 고의적으로 포구를 하지 않고 원바운드 포구 후, 1루주자와 타자주자를 아웃시켜 병살을 하려는 것을 방지하고자 이런 규칙을 만들었습니다.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이 될 경우 타자들은 그대로 삼진으로 기록되고 투수들은 탈삼진으로 기록이 됩니다.
만약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이 발생하고 타자가 1루로 뛸 의사가 없어 보인다면 이는 정상적으로 아웃으로 처리됩니다.
인필드 플라이
인필드 플라이는 공격하는 팀을 위한 규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타자가 친 뜬공을 수비수가 노바운드 즉, 땅에 떨어지기 전에 잡는 다면 아웃이 되는게 야구의 대표적인 규칙입니다. 이 때 심판들은 수비수의 글러브에 공이 포구가 된 후에 아웃을 선언합니다. 하지만 가끔 야구를 보다보면 수비수가 공을 잡기 전에 아웃을 선언할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뜬공을 수비수가 만약 놓치더라도 이 아웃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인필드 플라이 입니다. 다만 인필드플라이는 내야에 뜬공에 한해서만 규칙을 적용합니다. 노아웃 또는 1아웃에 주자가 1루와 2루 또는 만루일 경우 타자가 친 공이 내야 뜬공이 되어 내야수가 쉽게 수비를 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주자가 1루와 2루에 혹은 만루에 있을 때, 내야에 뜬 손쉬운 뜬공을 수비수가 고의적으로 원바운드로 잡고 더블 아웃 혹은 무사일 경우는 삼중살까지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일을 방지하고자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손쉬운 뜬공에 주자들은 다음 베이스로 뛰지 못하기 때문에 주자들은 보통 베이스에 붙어 있게 됩니다. 이를 악의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인필드 플라이가 추가되면서 인필드 플라이가 선언 되었을 때, 내야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봐야할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습니다. 베이스 라인의 흙까지로 봐야할지, 베이스라인 바깥쪽에서 내야수가 수비를 하는 범위까지를 봐야할지 의견들이 분분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논란속에서 그래도 야구는 심판들이 있고 심판들에 의해 경기가 진행이 되기때문에, 이 또한 심판의 재량에 맡기기로 약속되었습니다.
인필드 플라이가 생기면서 야구 초보자들이 또 혼선이 오는 부분이 고의낙구에 대한 부분입니다. 고의낙구를 방지하여 더들 아웃 혹은 삼중살을 방지하고자 만든 게 인필드 플라이인데, 어떤 경기에서는 일부러 고의 낙구를 하여 더블 아웃을 잡기도 합니다. 고의 낙구는 내야 뜬공이 수비수의 글러브나 손에 맞고 떨어졌는지를 명확히 보고 판단해야 하며, 이 또한 심판의 재량에 맡기고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내야수들은 인필드 플라이 선언이 안되었다면 고의 낙구를 할 수 있는지 빠른 판단을 해야 하기도 합니다. 그 짧은 순간에 유리한 방법을 고려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종종 내야수들은 소위 말하는 야구 IQ가 높아야 한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야구에 미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 타이거즈> KBO 리그 최다 우승팀의 위엄 (0) | 2023.01.30 |
---|---|
야구는 <투수 놀음> 투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1.29 |
악의 제국 <뉴욕 양키스>, 메이저 리그 최고의 명문팀 (0) | 2023.01.23 |
<WBC>, 전 세계의 야구 전쟁 (0) | 2023.01.18 |
<LG트윈스>의 KBO리그를 지배하는 신바람 야구 (0) | 2023.01.16 |